티스토리 뷰

 

 

 

도로교통공단 동승자교육 방법

요즘 많은 사람들이 운전을 하고 있습니다. 도로에 보면 정말 차들로 빽빽히 도로가 꽉 차 있는 것을 알수 잇습니다. 서울이나 수도권내에서 운전을 하려고 하면 정말 도로를 차로 운행하는 것은 좋지만 어디 주차할곳이 마땅치 않는 것을 알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서울시내 웬만한 대중교통이 있는 곳이라고 하면 지하철이나 아니면 버스를 이용하는게 오히려 낫다는 생각이 들어요 물론 갈아타고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까지 가는게 때로는 귀찮고 불편하기도 해요

 

 

 

하지만 자동차를 타면 편하긴 한데 운동이 안되니까요 그냥 차라리 운동겸 해서 따로 운동을 안해도 되니 그냥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요즘 우리 아이들은 학원을 많이 보내고 있는데요

 

 

학원은 어린이집과 그리고 유치원 초중고등학생 대상으로 학원차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어린이통학버스 운전차량 사고를 우리가 뉴스에서 많이 접하게 되는데요 어린이들 대상으로 하다 보니 자칫하면 부주의로 인한 큰사고를 당하게 됩니다.

 

 

예를들어서 유치원 학원 통학버스에 아이가 아직 남아있는데도 잠들었는데도 확인하지 못하고 문을 그대로 잠궈서 아이가 갇힌경우도 있고요 아이같은경우는 애들이 뛰어놀면서 장난을 치다 보니 운전하다가 갑자기 불쑥 튀어나오는 경우도 있죠

 

 

그리고 뒤에 후진을 하다가 아이를 못봐서 사고도 나고요 정말 자동차 사고는 아찔한 순간에 순간 방심해서 일어나는 경우가 참많아요 그리고 우리고 어린이 보호구역이면은 시속 30km이하로 운전을 하는 것도 새로 법규가 만들어졌죠

 

 

그래서 우리는 항상 어린이 통학버스를 운행할때는 항상 여러가지 아이들을 신경을 쓰면서 운행을 해야 하고요 그리고 일정규모 학원이나 유치원 어린이집은 15인승 이상 버스를 운행시에는 동승자를 같이 태우는 것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운전사는 운전하느라 집중을 하고 뒷좌석에 동승자는 어린이들이 제대로 버스를 잘 타는지 관리를 하는 업무를 하게 됩니다. 그런데 운전수나 동승자나 어린이통학버스 교육을 받아야 하는데요

 

 

운전사는 필수로 받아야 하고 정기적으로 2년에 한번씩 받아야 합니다. 동승자는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이왕이면 어떤 사고가 일어날지 미리 교육을 받으면 미연에 사고를 예방할수 있어서 꼭 받아야 한다고 생각을 합니다.

 

 

도로교통공단 이러닝센터를 검색을 해주세요

 

 

동승보호자 교육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오프라인 교육신청은 안전운전 통합민원에서 해도 되고요

 

온라인은 바로 위사이트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교통안전교육을 클릭을 해주시고요

 

어린이 통학버스 안전교육을 눌러주세요

 

어린이 통학용 버스 운전사는 직접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전국 교육장및 시험장을 확인해서

 

우리집에서 가까운 교육장을 선택하면 되겠죠

 

 

운전자는 유치원 학원 시설과 계약되어있는 어린이통학버스 운전하는자는 꼭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지역을 선택하고 내가 교육받고자 하는 날짜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교육시간은 대략 3-4시간 정도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댓글